목록프론트/java script 기초지식 (11)
SOCO
//배열 선언 [] const array=['banana', 'apple', 'grape', 'kiwi'] //배열 길이 const array=['banana', 'apple', 'grape', 'kiwi'] console.log(array.length) // 4 //index별 요소 const array=['banana', 'apple', 'grape', 'kiwi'] console.log(array[0])// 'banana' console.log(array[1])// 'apple' console.log(array[2])// 'grape' console.log(array[3])// 'kiwi' //요소별 index const array=['banana', 'apple', 'grape', 'kiwi'] ..
1. 배열에 대한 반목문 : 배열명.forEach( ( ) => { }) 배열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훑으면서 함수를 실행함 배열명.forEach((요소, 인덱스) => { }) const array = [3,1,4,6] array.forEach((element, index) => { console.log('인덱스 : '+index +' 숫자 : ' +element) }); //인덱스 : 0 숫자 : 3 //인덱스 : 1 숫자 : 1 //인덱스 : 2 숫자 : 4 //인덱스 : 3 숫자 : 6 응용 예시 const answer=[3,1,4,6]; //정답은 3,1,4,6 const value = '3214' //입력한 값은 3214 let strike = 0; //처음 시작은 스트라이크 0 let ball ..
variable ; mutable(let), constant ; immutable(const) variable -> 메모리의 값을 읽고 쓰는 게 가능함 값을 할당한 다음 변경이 가능함 constant -> 메모리의 값을 읽기만 가능함 선언&할당한 다음에는 읽기만 가능하고 다시 다른 값을 쓰는 것이 불가능함 js는 변수이ㅡ 값이 바뀔 이유가 없으면 const로 선언하는 것이 좋은 습관임 메모리의 값이 저장되는 두가지의 방법이 있음 1. 프리미티브 타입인지 2.오브젝티브 타입인지에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됨 1-> value 값 자체가 메모리에 저장됨 2-> object는 메모리에 한 번에 갈 수 없고 const ellie라고 선언하고 object를 할당하게 되면 엘리가 가리키고 있는 곳에는 레퍼런스가 있..
[변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마다 쓸 수 있는 메모리가 할당됨 초반의 메모리는 텅 비어있는 박스로, 어플리케이션마다 쓸 수 있는 제한된 수의 박스를 할당 받음.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키워드는 딱 하나! let임 이것은 ES6에 추가됨. let name = 'js' let을 통해 name이라는 변수를 정의하게 되면, 한 가지의 박스를 가리킬 수 있는 포인터가 생기게 됨. name이라는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메모리에 js라는 값이 저장됨. 변수명 메모리 name ------(포인터)------> js name ='javascript' 추후에 name의 변수가 가리키고 있는 메모리에 다른 값(javascript)을 넣어서 저장할 수 있음 [scope] block scope..
[기초 용어] 1. API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임. 이 중 웹 API는 자바스크립트 언어 자체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함. 2. console.log console APIs, 그중에 log라는 함수를 이용해서 우리가 원하는 메세지를 console창에 출력할 수 있음 node.js를 이용해서 (웹 브라우저 없이) console창에 출력되는 걸 볼 수 있음. 그것은 node.js와 웹 APIs 모두 console에 관한 API가 있는 것임 API의 interface가 둘 다 동일함 console은 언어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는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아이라서 node.js와 웹의 API..
html, css, js를 인터넷 강의로 공부하면 바로바로 적용할 수 있어서 흥미를 잃지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개념을 제대로 익히고 적용을 하는 것이 아니다보디 그냥 넘어가게 되는 부분들이 있었다. 특히 제로초님 강의에서 스코프와 클로저 문제를 배우면서 스스로의 부족한 점을 많이 느꼈다. 찾아보니 드림코딩 엘리님께서 자바스크립트 기초강의를 올려주신 게 있어서 해당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라이브러리의 등장 자바스크립트 사용에 관한 표준사항이 통일되지 않았던 과거에는, 개발자들이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페이지를 만드느라 고생하고 있었다. 웹시장이 증가하고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개발자들이 웹시장으로 들어왔고, 개발자들 사이에서 강력한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커뮤니티 사..
내가 한 실수 console창에 "4" == 4가 true로 나옴 "4" !==4도 true로 나옴 그래서 Number('"4" ) !== 4로 비교하는 코드를 짬 내가 실수한 부분은 ==와 대응하는 건 !=이고, ===와 대응하는 건 !==이라는 걸 놓침 ===와 !==는 자료형까지 비교하는 것임 "4" == 4 : true "4" === 4 : false "4" != 4 : false "4" !== 4 : tru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t7nDO/btq6EWc61RU/TwgE46R8Lum11bSq0aYbr0/img.jpg)
1. document.querySelector(' ') 와 textContent, value (1) JavaScript에서 태그 선택하기 cf. CSS설명도 함께 확장자를 .html로 한 상태에서 CSS와 JavaScript를 쓰는 경우 CSS는 안에 넣고 JavaScript는 (2)textContent, value textContent와 value 태그의 내부값을 나타낸다. 버튼 버튼 2. document.querySelector(' ') + innerHTML innerHTML은 HTML 태그가 나오는 경우 이를 태그로 인식해서 반영한다 document.createTextNode(' ')는 따옴표 안의 내용을 text로 인식하고 document.createElement(' ')는 따옴표 안의 내용을 태..
예시. function test() { let result =''; if (a) { if(!b) { result='c'; } } else{ result='a'; } result +='b'; return result; } 함수해석 1단계 result라는 변수를 undefined로 먼저 설정! 2단계 case1. a가 참이면, b가 거짓일 때 : result변수는 'c'가 되고, case2. a가 참인데 b가 참일 때 : result 변수는 여전히 비어있고, case3. a가 참이 아닐 때 : result변수는 'a'가 된다. 3단계 case1. result= 'cb' case2. result= 'b' case3. result= 'ab' ---------------------------- if문 중복 줄이기..